을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10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2개 💗세 글자: 103개 네 글자:62개 다섯 글자:24개 여섯 글자 이상:27개 모든 글자:289개

  • 낭세 : (1)‘카스틸리오네’의 중국 이름.
  • : (1)‘구멍가게’의 방언
  • 개구 : (1)‘개구멍’의 방언
  • : (1)조선 태종의 왕자(?~1467). 이름은 인(裀). 자는 정경(整卿). 시호는 양정(襄靖). 신빈 신씨(信嬪辛氏) 소생이다.
  • 문구 : (1)‘문구멍’의 방언
  • 짓구 : (1)‘숫구멍’의 방언
  • : (1)고려 시대 태묘(太廟)의 초헌례에 연주하던 곡.
  • 허도 : (1)중국 송나라의 산수화가(?~?). 이성(李成)의 화풍을 이어받고, 화베이(華北)의 자연을 즐겨 그려 중당(中唐) 이래 일품화(逸品畫)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 밑귀 : (1)‘밑구멍’의 방언
  • : (1)‘거적눈’의 방언
  • 해구 : (1)‘햇구멍’의 방언
  • 기구 : (1)‘귓구멍’의 방언
  • : (1)중국 남북조 시대에, 뤄양(洛陽)에 있던 큰 절. 북위가 멸망할 때 소실되었다.
  • : (1)조선 시대에, 태조가 선위(禪位)한 뒤에 그에 대한 공봉(供奉)과 그 밖의 모든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정종 2년(1400)에 덕수궁에 두었다. (2)대한 제국 때에, 고종이 선위한 뒤에 공봉과 그 밖의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융희 원년(1907)에 두어 4년에 없앴다.
  • : (1)고려 숙종 때에 제정된 태자(太子)의 탄생 기념일.
  • 매사 : (1)‘매사냥’의 방언
  • : (1)간사하고 아첨을 잘하는 무리.
  • 놀구 : (1)‘놀구멍’의 방언
  • 미구 : (1)‘밑구멍’의 방언
  • 혼구 : (1)‘혼쭐’의 방언
  • 지구 : (1)‘숫구멍’의 방언
  • : (1)조선 시대에, 영조의 영정을 둔 곳. 강화도에 두었으며 뒤에 장녕전과 합쳤다.
  • 개귀 : (1)‘개구멍’의 방언
  • 셩 : (1)흙으로 토기 따위를 만드는 일.
  • : (1)대하는 태도가 친절하게. (2)충고하거나 알리는 태도가 매우 간곡하게. (3)조금도 틀림없이 꼭. 또는 더 이를 데 없이 정말로.
  • : (1)어떤 개인이 인생 전체에 걸쳐 행복을 느끼거나 만족하는 정도.
  • 악히 : (1)‘영악히’의 북한어.
  • ㄴ커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ㄴ’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배구 : (1)‘배꼽’의 방언
  • : (1)고려 의종 11년(1157)에 세운, 이궁(離宮)인 수덕궁(壽德宮)의 정전(正殿).
  • : (1)‘미역치’의 방언
  • 소손 : (1)거란의 장군(?~?). 고려 성종 12년(993)에 80만 대군을 이끌고 고려에 침입하였으나, 서희와의 담판에서 굴복하여 강동 육주를 고려에 넘겨주고 물러났다.
  • 밋구 : (1)‘밑구멍’의 방언
  • 볼구 : (1)‘봇도랑’의 방언
  • : (1)경복궁 안에 있던 왕의 침전(寢殿). 임진왜란 때에 타 버린 것을 26대 고종 초년에 재건하였는데, 뒤에 창덕궁으로 옮겼으며 현재의 건물은 1995년에 복원한 것이다.
  • 은커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은’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문귀 : (1)‘문구멍’의 방언
  • : (1)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현무암 동굴. 예전에 이 굴에 사는 뱀에게 매해 봄가을에 처녀를 제물로 바쳤다는 전설이 있다. 길이는 705미터이며, 만장굴과 더불어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어 있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제주 김녕굴 및 만장굴(濟州道金寧窟-萬丈窟)’이다.
  • 콧구 : (1)‘콧구멍’의 방언
  • 쥐구 : (1)‘쥐구멍’의 방언
  • : (1)‘일곱동갈망둑’의 방언
  • 뒷구 : (1)‘뒷구멍’의 방언
  • 기슭 : (1)‘처마’의 방언
  • : (1)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게.
  • 목구 : (1)‘목구멍’의 방언
  • 눈꾸 : (1)‘눈구멍’의 방언
  • 눈구 : (1)‘눈구멍’의 방언
  • 뎡히 : (1)‘외로이’의 옛말.
  • : (1)대장간. 작업장.
  • 독히 : (1)‘영독히’의 북한어.
  • : (1)‘대장간’의 방언
  • : (1)‘무명실’의 방언
  • : (1)고려 원종 11년(1270)에 중국 원나라가 평안도 지방에 설치한 통치 기관. 원종 10년(1269)에 최탄 등이 난을 일으켜 북계(北界)의 54성(城)과 자비령(慈悲嶺) 이북 서해도의 6성(城)을 들어 원에 항복하자, 원이 자비령 이북의 영토를 병합하고 이를 다스리기 위하여 서경(西京)을 중심으로 설치하였는데, 충렬왕 원년(1275)에 동녕로총관부로 승격시켰다가 충렬왕 16년(1290)에 폐하고 이 지역을 고려에 반환하였다.
  • : (1)중국 만주 동남부에 있는 성. 중앙부에는 랴오허강(遼河江)이 흐르고, 남쪽은 발해(渤海), 황해에 닿아 있다. 석탄, 철 따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중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성도는 선양(瀋陽), 면적은 14만 7588㎢. ⇒규범 표기는 ‘요령성’이다.
  • 이숭 : (1)국어학자(1908~1994). 호는 심악(心岳). 진단학회 상임 이사, 국어학회장 등을 지냈다.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연구에 힘썼다. 저서에 ≪국어학 개설≫, ≪중세 국어 문법≫, ≪신라 시대의 표기법 체계에 관한 시론≫ 따위가 있다.
  • 똥귀 : (1)‘똥구멍’의 방언
  • : (1)‘화냥년’의 방언
  • 맹히 : (1)‘영맹히’의 북한어.
  • : (1)‘무명실’의 방언
  • 똥구 : (1)‘똥구멍’의 방언
  • 담구 : (1)‘개구멍’의 방언
  • 이휘 : (1)조선 후기의 학자(1788~1861). 자는 군목(君睦). 호는 고계(古溪). 이황의 10대손으로 가학(家學)을 계승, 성리학에 전심하였다. 저서에 ≪십도고증(十圖攷證)≫ 따위가 있다.
  • : (1)고려 숙종, 예종, 원종 때 임금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 딧구 : (1)‘뒷구멍’의 방언
  • : (1)‘되넘기’의 방언
  • 땀구 : (1)‘땀구멍’의 방언
  • 땀귀 : (1)‘땀구멍’의 방언
  • 귓구 : (1)‘귓구멍’의 방언
  • : (1)조선 태종의 왕자(1407~1453). 이름은 정(裎). 시호는 양혜(良惠). 신빈 신씨(信嬪辛氏)의 3남이며, 부인은 익산군 부인(益山郡夫人) 순천 박씨(順天朴氏)이다.
  • : (1)종묘의 안에 있는 사당. 조선 시대에, 왕과 왕비로서 종묘에 모실 수 없는 분의 신위를 모시던 곳으로, 태조의 사대조(四代祖)와 그 비(妃), 대가 끊어진 임금 및 그 비를 모셨으며, 1년에 두 번 정월과 7월에 대관(代官)을 보내어 제사를 지냈다. 태묘의 서북쪽에 있다. 보물 제821호.
  • : (1)‘다리쇠’의 방언
  • : (1)‘추수’의 방언
  • : (1)인쇄물의 마지막 교정.
  • : (1)‘숭늉’의 방언
  • 코구 : (1)‘콧구멍’의 방언
  • 숨구 : (1)‘숨구멍’의 방언
  • : (1)몸이 건강하고 마음이 편안하게. 안부를 전하거나 물을 때에 쓴다.
  • : (1)건강히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뜻의 한자를 본뜨거나 새긴 무늬. 생활용품이나 장식품에 수를 놓았다.
  • 밥숭 : (1)‘숭늉’의 방언
  • 귓귀 : (1)‘귓구멍’의 방언
  • 깃구 : (1)‘귓구멍’의 방언
  • : (1)경상남도 북쪽에 있는 군.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특히 양파가 유명하다. 명승지로 관룡사, 진흥왕 순수비, 창녕 석빙고, 영산 만년교, 부곡 온천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창녕, 면적은 532.94㎢.
  • : (1)‘대장간’의 방언
  • : (1)‘동냥중’의 옛말.
  • 페탕 : (1)‘영폐탕’의 북한어.
  • 변뽕 : (1)평안북도 영변 일대에 흩어져 있는 재래종 가운데서 추려 낸 뽕나무. 오디가 많이 달리므로 종자를 받는 나무로 쓰인다. ⇒남한 규범 표기는 ‘영변뽕’이다.
  • : (1)‘동냥질’의 방언
  • : (1)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조선 숙종의 영정을 모신 전각(殿閣).
  • 뱃구 : (1)‘배꼽’의 방언
  • 빵구 : (1)‘꽁수’의 방언
  • 물구 : (1)‘물구멍’의 방언
  • 콧귀 : (1)‘콧구멍’의 방언
  • : (1)‘타닌산’의 음역어.
  • : (1)‘정녕’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 : (1)심마니들의 은어로, ‘산막’을 이르는 말.
  •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 본디 창녕군 창녕읍 화왕산 기슭에 있던 것을 192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진흥왕 22년(561)에 세운 것으로 추정되며, 비문은 해서체로 되어 있다. 국보 정식 명칭은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이다.
  • 는커 : (1)앞말을 지정하여 어떤 사실을 부정하는 뜻을 강조하는 보조사. 보조사 ‘는’에 보조사 ‘커녕’이 결합한 말이다.
  • : (1)‘그글피’의 방언
  • 밑구 : (1)‘항문’의 방언 (2)‘밑구멍’의 방언
  • 석제 : (1)꿀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0~60cm로 모가 지고 때때로 자주색을 띠며, 온몸에 잔털이 덮여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형의 피침 모양이다. 여름철에 입술 모양의 자주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이다. 잎은 먹고 씨에서 짜낸 기름은 방수지(防水紙)를 만드는 데에 쓰고, 식용유나 등화유로도 이용한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8개) : 나, 낙, 낛, 난, 낟, 날, 낡, 남, 납, 낫, 낭, 낮, 낯, 낱, 낳, 내, 낵, 낸, 낼, 냄, 냅, 냇, 냉, 냏, 냐, 냔, 냘, 냥, 냬, 냰, 너, 넉, 넋, 넌, 널, 넘, 넙, 넛, 넝, 넠, 넢, 네, 넥, 넨, 넬, 넴, 넵, 넷, 넹, 넼, 넽, 넾, 넿, 녀, 녁, 년, 녈, 념, 녑, 녕, 녘, 녜, 녬, 녯, 노, 녹, 논, 놀, 놁, 놈, 놉, 놋, 농, 놓, 뇌, 뇍, 뇜, 뇨, 뇰, 누, 눈, 눌, 눔, 눕, 눗, 눚, 눛, 눞, 눠, 눰, 눼, 뉘, 뉨, 뉫, 뉯, 뉴, 늄, 늇, 느, 늑 ...

실전 끝말 잇기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 (28개) : 녕, 녕감, 녕귀, 녕기슭, 녕깃물, 녕뎡히, 녕독하다, 녕독히, 녕맹스럽다, 녕맹하다, 녕맹히, 녕믈, 녕법, 녕변뽕, 녕사언정, 녕세, 녕신, 녕악스럽다, 녕악하다, 녕악히, 녕일, 녕찰, 녕텍없다, 녕특하다, 녕페탕, 녕풍, 녕혹, 녕혹하다 ...
녕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녕을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10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